본문 바로가기
THE PEOPLE

10억 이상 부자들의 MBTI는 무엇일까?

by planking 2023. 4. 10.
반응형

아침에 신문을 보는데 재미있는 기사가 있었다. 타이틀은 MBTI 관련 기사는 아닌데 내용은 달랐다. 처음에 언급한 내용은 금융자산 10억 이상을 부자라고 기준으로 잡을 때, 그들의 79%가 앞으로 경기는 더 나빠질 것이라는 의견이었다는 발표였다. 부자들의 투자 1순위는 부동산이고. 흥미로운 부분은 경기가 나빠져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인데 그때 투자한다는 것이었다. 

 

부동산이 지난해 너무나 많이 올랐기 때문에 올해 떨어지는 건 전문가가 아니라고 해도 예측할 수 있는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들은 '부동산 가격이 얼마나 하락할 것으로 생각하나?'라는 물음에 현 수준 대비 10~30%와 5~10%라고 대답한 사람들이 40% 된다고 했다. '어디에 투자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부동산이 32%, 예금 23%, 주식 14%, 펀드와 신탁이 10%, 채권이 10%의 순으로 답했다. 

 

부자들의 MBTI는 무엇일까? 요즘 워낙 MBTI가 유행하고 있는데, 슈퍼리치를 300억 이상의 자산을 가진 사람이라고 볼 때 그들의 28.8%가 ESTJ라고 한다.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 중 1억 이하의 자산을 가진 8.5%란다. 참고로 E는 Extrovert, 외향적, S는 Sensing, 감각적, T는 Thinking, 이성적, J는 Judging, 계획적인 사람을 말한다. 금융자산의 규모가 클수록 이성적이고 계획적인 판단이 감각적이고 즉흥적인 성향보다는 부를 축척하는 데 도움이 되나 보다.

 

그렇다고 감각적이고 즉흥적인 사람이 돈을 못 번다는 건 아니다. 그들이 벌면 이건 또 TJ가 돈 버는 거랑 비교할 수 없으니 말이다. 연예인들이 여기 속할 텐데 그들이 그렇게 돈을 벌어서 전문가들에게 맡겨서 재산을 불리니 이건 정말 보통 사람들은 할 수 없는 단시간에 부자가 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의 MBTI는 뭐가 제일 많을까? 변호사, 검사, 판사와 같은 법조계나 의사, 한의사, 수의사 같은 의료계는 ISTJ가 무려 42%나 되었고, 부동산 임대업자는 INTJ가 23%였다고 한다.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 ISTJ가 많다고 하니 우리나라 입시제도에서 당연한 결과라 생각되고, 부동산 투자는 아무래도 감각적으로 지르는 게 필요하니 N이 우세했나 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