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등 관련 지식66

[독서] 시카고대학교 그레이트북스 프로그램 목록 001. 미합중국독립선언서(美合衆國獨立宣言書) 002 플라톤(Plato, 427-347 B.C.)/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003 소포클레스(Sophocles, 497-406 B.C.)/안티고네(Antigone) 00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384-322 B.C.)/정치학(Politics) 005 플루타크(Plutarch, 45-120)/영웅전(Bioi Paralleloi) 006 '신약(新約)'중 마태복음 007 에픽테투스(Epictetus, 55-135)/'인생담(人生譚)' 발췌 008 마키아벨리(Machiavelli, 1469-1536)/군주론(君主論)(The Prince, 1513) 009 셰익스피어(Shakespeare, 1564-1616)/멕베드(Macbeth, 1606?)).. 2023. 2. 24.
요즘 학교에서 아이큐 테스트를 안 하는 이유 국민학교 다닐 때 IQ 테스트를 했고, 중고등학교 때도 했던 기억이 난다. 계속 뭔가 규칙을 찾았던 것 같다. 언어도 수리도 계속해서 찾아내면, 어느 정도 희열도 느끼고 했었던 시간이었다. 학교에서 아이큐 테스트 아이를 학교에 보낼 때 알게 되었다. 요즘엔 아이큐 테스트를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그래서 왜 그렇게 바뀌었는지 궁금했다. 아이큐 테스트가 지능을 결정하는 건 아니란 말은 들어봤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건지 확인해 보는 계기가 됐다. ​ 아이큐와 학습 능력 IQ가 높다고 해서 똑똑하다는 건 의미하지는 않는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인간 개발 및 응용 심리학 교수인 키스 스타노비치는 "IQ 테스트는 인지 기능의 중요한 영역을 측정하고 학업 및 업무 성공을 적당히 예측하는 데 뛰어나다. 하지만 그들은.. 2023. 2. 23.
[잘 읽는 법] 틀에 박힌 글쓰기 공부로 틀 깨기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정리하는 중에 발견한 사진이다. 어느 책에서 찍어놓은 건지는 모르겠지만... ​ 여기 내용 중에서 1) 중심 문장 2) 부연설명 문장 3) 예시의 상세화 ​ 이 세 가지만 잘 찾으면 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 읽을 때는 빨리 읽을 수 있고, 쓸 때는 잘 쓸 수 있게 될 거다. 2023. 2. 22.
독서가 공부에 도움이 될까? 유튜브 민성원 소장은 머리 좋은 애들이 독서를 잘하는 건지, 독서를 해서 머리가 좋아지는 건지에 관한 상관관계는 밝혀진 바가 없다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독서를 하면 지적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공부에 도움이 되기도 할 것이다. 예전에 책을 매우 많이 읽었던 한 아이가 서울대학교 정시에 합격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 역시 똑똑해서 책을 많이 읽은 건지 책을 많이 읽어서 똑똑해진 건지 알 수가 없다. 이 둘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리서치가 있는 걸까? 이와 관련된 자료를 찾다가 댄 허리가 자신의 체험을 공유한 사항을 보게 되었다. ​ 그는 여덟 살 때 글을 읽을 수 없었다고 한다. 한 선생님이 그에게 책을 읽어 달라고 요청했을 때에도 그는 책을 읽을 수 없었다. 단어를 하나씩 짚어 가면서 읽는 .. 2023. 1. 19.
반응형